본문 바로가기

임베디드33

[오제이 튜브의 임베디드 강의] 19강. FND제어(실무 노하우) 1. 오늘의 목표: 버튼을 누를 때마다 FND 세그먼트의 숫자가 계속 증가하도록 출력하기  1-1. 세그먼트의 Pin 보는 방법  VCC : VCC와 GND가 연결되어야 FND LED가 켜질 것SCLK : 이 클럭을 기준으로 DO로 데이터가 들어와서 FND모듈이 이 데이터를 2진수로 변환하여 읽어서 숫자를 FND에 출력하게 됨 DO(Data Output) : FND가 어떤 정보를 보냄*DI(Data Input) : FND 모듈이 정보를 받음=> 이때 FND 세그먼트의 특징은 내가 원하는 숫자나 데이터를 보여주는 모듈이기에 데이터를 보낼 일은 없음 1-2. FND 7세그먼트의 다른 이름메인칩 + 메인칩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회로 = 모듈 (=쪽보드)뒷면에 칩 2개가 존재=> 메인칩(TM74HC595.. 2025. 1. 24.
[오제이 튜브의 임베디드 강의] 18강. 내 힘으로 스위치 회로 만들기 1. 오늘의 목표: 아래 사진과 같이 회로도 구성하기             2. 회로도 구성   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또 다른 빨강 점퍼선으로 50a에 연결 저항은 4.7k(=4700)이므로 노랑-보라-빨강 순으로 되어있는 저항 연결해야함 저항은 50b와 45b에 연결 흰색 수컷-암컷 점퍼선을 STM PCB의 PB0와 45a에 연결     노랑 수컷-수컷 점퍼선 이용하여 45c와 20d에 연결파랑 수컷-수컷 점퍼선 이용하여 18d와 같은 세로라인의 그라운드(-)에 연결   2-1. 코딩 PB0의 GPIO Input으로 설정 후 아래 사진과 같이 설정  HAL_Delay에 breakpoint 걸고 디버깅 하면 button_state=1 이었다가 스위치 누르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0이 됨  3. 버튼을 누르면.. 2025. 1. 24.
[오제이 튜브의 임베디드 강의] 17강. 내 힘으로 LED회로 만들어서 제어하기! 1. 내가 구성한 회로로 LED 켜기 STM PCB 보드의 3.3V를 빵판에서 전구의 (+)와, GND를 빵판에서 전구의 (-)와 연결이때, LED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전구의 (-)와 GND 사이에 저항 설치   빨간 네모로 되어있듯이 막혀있기에 전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를 수 없음(세모 방향이 전류 흐르는 방향, 즉 (+) -> (-))(세모 옆의 선은 전류가 빠져나가는 쪽을 의미하며 전류 차단하는 벽) 전류는 항상 높은 전압에서 낮은 전압으로 흐르기 때문에 3.3V에서 P86_LED1, P87_LED2로 흐를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GND는 P86_LED1,P87_LED2가 된다      1-1. LED 살펴보기    다리 긴 쪽이 +, 짧은 쪽이 -임전원이 공급되는 쪽을 +에, GND를 -에.. 2025. 1. 24.
[오제이 튜브의 임베디드 강의] 16강. printf()도 쉽지 않다구!! 1. 오늘 강의의 목표UART 이용해서 printf 출력하기 2. 오늘의 준비물FTDI chip : UART 통신하게 해주는 장치 빵판 : 구멍 안은 전류가 흐를 수 있게끔 도선이 설치되어있음 3. 과정3-1. FTDI chip을 케이블과 연결하여 노트북에 연결하면 빨간 센서 들어옴  cf. 커넥터  3-2. 빵판의 +,-는 다 가로로 한줄이 연결되어 있기에 커넥터로 + 줄의 양끝을 꽂고 멀티미터기로 측정하면 삐- 울림=> 이때 +,- 사이의 줄들은 세로로 연결되어있음 => 이때 세로로 연결되어 있어도 가운데 선을 기준으로 연결이 안되어있음  4. FTDI와 STM을 빵판 이용하여 연결하기  4-1. FTDI 칩 구성요소: FTDI 칩의 GND(그라운드)/RX(수신부)/TX(송신부)/VCC(전원) 칩 중.. 2025. 1. 23.
[오제이 튜브의 임베디드 강의] 13강. 멀티미터기 사용방법 1. 목표 소스코드적으로 구동하는 걸 관찰하는 게 아닌 물리적인 면에서 관측해보기 (PA3 제어)  => 전압을 잴땐 항상 그라운드와 내가 재려고 하는 데를 측정 cf. 그라운드 : 전기회로에서 전위가 0v인 기준점으로 사용되기에 각 지점의 전위 상태를 알 수 있음  1-1. 멀티미터기의 프로브빨간색 (양극 프로브) : 항상 더 높은 전위를 나타내는 지점에 연결해야함검정색 (음극 프로브) : 일반적으로 음극(-) 또는 그라운드 나타내기에 기준점으로 사용됨=> 이 프로브가 연결된 지점의 전위를 0v로 간주하고 다른 지점의 전위차 측정 -> 즉, 그라운드는 검정색 프로브에 측정하고자 하는 전위지점은 빨강색 프로브에 연결  2. 연결 여부 확인2-1. 전원 연결 여부 chk  : GND와 3V에 점퍼선을 연결.. 2025. 1. 22.
[오제이 튜브의 임베디드 강의] 12강. 데이터시트 읽어 주는 남자 1. 오늘 강의의 목표: 아래 사진의 데이터시트 해석하기  1-1. 데이터 시트를 볼 때,- 회로를 설계하는 사람과 프로그래머가 보는 관점의 데이터시트는 다르다. - HW는 전기적인 특성들을 주로 집중해서 봄 VS 어떻게 이 칩을 사용하는가에 대해서 봄 1-2. 데이터시트란?: 어떤 부품에 대한 사용설명서부터 부품의 특징들이 담긴 것2. 해석 2-1. CPU 성능을 좌우하는 것중에 하나는 트랜지스터를 얼마나 많이 집약해서 밀도있게 넣었느냐? 중간 정도의 밀도를 가지고 있기에 중간 정도의 performance 가진 line (ex. 갤럭시 S4라인)32bit MCU :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올 때 32bit만큼 병렬로 read + 레지스터에서 연산 단위 : 32bit *MCU : CPU + 메모리 + i.. 2025. 1. 18.